1. 매매원칙
1) 손익비계산 / 익절가, 손절가 결정이 되어있지 않으면 안들어간다.
2) 파동/RSI/거래량/피보나치/추세/매물대 중 3가지 이상 지표가 같은 방향을 가르킬 때 들어간다.
4) 매매일지를 매일 쓴다(분석 > 전략 > 결과 > 예정)
5) 틀렸다는 게 결정되면 바로 손절(물타기하지마라. 기다리지 말고 손절한 뒤 포지션을 다시잡아라)
6) 과거차트를 계속 돌려봐라. 배운 걸 다 집어넣어서 카운팅 반복 연습해라.(3년치, 10번 이상)
7) 술먹었을 때 + 운전할 때 + 여행갔을 때 포지션 x
8) 내가 열심히 했는데도 안된다면, 죽을만큼 열심히 했는지 자문해봐라
9) 습관 : 전저/전고/트렌드라인 그리기, 거래량+캔들+파동=극점매매
2. 매매지식
엘리어트
1) 임펄스인지, ABC인지를 주의깊게 본다 (모르겠으면 1분봉 뜯어서라도 본다)
-. 임펄스가 확인되면 홀딩 후 임펄스 카운팅 종료되는 지점에서 반익
2) 2파 시간조정 → 4파 가격조정 or 2파 가격조정 → 4파 시간조정 (비트는 후자가 많다)
3) 다이아고날 : 볼륨이 줄어든다 & 익스팬딩 다이아고날 : 볼륨이 늘어난다
4) 익스팬딩형 엔딩 다이아고날은 ABC의 반복이어야 한다(3-3-3-3-3)
5) 임펄스 규칙 : 2파는 1파보다 클 수 없다 / 3파는 1,3,5파 중 가장 짧을 수 없다 / 4파 저점은 1파 고점과 겹치지 않음
(다이아고날, 트라이앵글 예외)
6) 1, 3, 5파 각각이 확장 가능 (3파 확장 가능성이 제일 높음)
7) 확장 안에 추가 확장 파동이 포함될 수 있다
8) 1, 5파는 다이아고날 형태로도 나올 수 있다. 3파는 무조건 임펄스
팁 : 4파가 플랫이면 5파에 임펄스로 나올 수 있다. + 4파가 삼수or복합조정이면 5파는 한번 쏘고 끝날 수 있다.
9) 4파는 모든 조정패턴 가능, 2파는 삼수 안된다
(지그재그, 이중지그재그, 삼중지그재그, 트라이앵글, 더블 쓰리, 트리플 쓰리, 플랫)
10) 되돌림 비율은 보통 2파가 4파보다 큼
11) 5파가 3파를 넘어가지 못하는 "절단"이 생길 수 있다. 이는 3파가 과도하게 늘어났을 때 발생된다.
→ 절단 이후 보통 큰 반전이 발생한다.
12) 3파 확장이 안되면 5파 엔딩/익스팬딩 다이아고날 확률 적음
13) 파동 카운팅이 채널, 피보나치보다 우선
14) 1파 확장 시 : 3파~5파 길이가 1파의 618~786구간 사이일 확률이 높다
: 2, 4파가 짧아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236~382구간)
: 2파가 1-4파 수준까지 떨어진다.
15) 3파 확장 시 : 1↔5파 크기, 시간이 같거나 1:0.618 비율
16) 5파 확장 시 : 1↔3파 크기 같음
: 5파가 1~3파 길이의 1:1.618인 경우가 많다
: 후속조정은 5-2파 끝단 부근까지 빠르게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
(다만 여러 단위의 파동이 동시에 끝나는 5파인 경우 적용되지 않는다.
예) 5파동, 5-5파동이 동시에 끝날텐데, 이보다 상위의 파동도 5파동인 경우 해당안됨.)
팁 : 5파 끝이라고 숏 들어가면 안된다. 왜? 5파 연장가능 → 하락 다이버전스 컨펌 시 진입
17) 4파는 3-3파 수준에서 매우 짧게 떨어진다(3파의 236~382구간 되돌림)
18) 3파가 1, 2, 4파 추세채널을 뚫더라도, 이 채널은 5파 끝 예상할 때 여전히 유효하다.
19) 4파가 3파의 50% 이상을 되돌리면 4파가 아니다.
팁 : 4파가 3파의 382이상 오르면 의심해야 된다. 이거 임펄스가 아니라 ABC일 수 있겠구나
20) 다이아고날은 5-3-5-3-5 또는 3-3-3-3-3(엔딩 다이아고날의 대부분) 형태
→ 여기서 3에 해당하는 지그재그는 심플/이중/삼중 지그재그 모두 가능함
21) 리딩/엔딩 : 임펄스 1파/5파, 지그재그 A파/C파에서 발생
-. 리딩은 절단 x, 엔딩은 절단 o
-. 다이아고날 e파가 오버슈팅될 수도 있다.
-. 엔딩은 끝으로 갈수록 가격조정이 줄고 시간조정이 길어진다.
→ 반대로 생각하면, 중간에 장대양봉/음봉 생기면 엔딩 다이아고날이 아니라 원투원투의 확장일 수도 있다.
22) 다이아고날 내부 지그재그는 이중/삼중 지그재그로도 복잡하게 세분화될 수 있다.
23) 다이아고날 4파 완료 전에는 다이아고날임을 확신하지 말라.
24) 다이아고날은 15분봉 이하에서 자주 등장하므로, 짧은 봉에서 찾아야 한다
25) 임펄스 1파에 리딩이 나오면, 3파가 연장될 가능성이 크다.
26) 엔딩 다이아고날 이후 강한 반전이 뒤따른다.
27) 지그재그 : 5-3-5
28) A가 임펄스 → C는 임펄스나 엔딩
A가 리딩 → C는 무조건 임펄스
팁 : 임펄스 나오면 조정(.382 또는 .618) 후 재상승한다.
29) B파는 지그재그, 플랫, 트라이앵글, 복합조정 모두 가능
30) B파는 A파를 100% 이상 되돌리지 않는다. (되돌리면 러닝플랫)
31) C파는 항상 A파를 넘는다. (못넘으면 플랫?러닝플랫?)
32) 이중 지그재그를 WXY라 하고, 삼중 지그재그를 WXYXZ라 한다.
→ W, Y, Z는 ABC 지그재그로 세분화되나, X파는 아무 조정 패턴이든 가능하다.
33) 당연한 말이지만, 임펄스가 ABC보다 가파르다. ABC는 A-B가 많이 겹친다.
34) A파 : C파는 1:1 / 1:1.618 / 1:0.618 순서로 많이 나타난다.
35) B파는 A파를 382~786 사이로 되돌린다.
36) B파가 트라이앵글인 경우, A:C = 1:0.618비율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37) B파가 트라이앵글인 경우, 이는 A파의 0.1~0.4를 되돌린다.
B파가 지그재그인 경우, 이는 A파의 0.5~0.786만큼 되돌린다.
B파가 횡보 조정인 경우, A파의 0.382~0.5를 되돌린다.
38) 플랫 : 3-3-5
39) A파는 삼수 빼고 모든 조정 패턴 + B파는 모든 조정 패턴 + C파는 임펄스나 다이아고날
40) B파는 A파를 90% 이상 되돌려야 함. (더블바텀 or 더블탑이라 생각하는 그거)
-. 확장 플랫 : B파가 A파를 1.05~1.382 되돌리고, C파가 A파를 넘어섬(가장 일반적)
-. 레귤러 플랫 : B파가 A파를 0.9~1.05 되돌리고, C파가 A파의 1.0~1.05(드물게 등장. 확장 플랫보다 덜 가파름)
-. 러닝 플랫 : B파가 A파 시작 부분을 넘어서 끝나고, C파는 A파의 끝을 못넘음(매우 드물게 등장)
-. 드물게 A:C = 1:2.618 나옴
41) 트라이앵글(삼수) : 3-3-3-3-3이며, 진행 중 볼륨이 줄고 가격조정이 길어지고 시간조정도 길어진다
42) 삼수는 임펄스 4파, 지그재그나 플랫의 B파, Y파, Z파에서만 형성
43) 트라이앵글에서는 2개 이상의 복합 조정이 등장하지 않는다.
44) 확산 삼각형은 각각 이전 파동을 105%넘게 되돌리지 않으며, 심지어 아주 드물게 나온다
45) 확산 삼각형에서 C, D, E는 각각 A, B, C의 1.618 이다.
46) B파가 A파보다 클 수 있다.
47) E파는 추세선에 미치지 못하거나 살짝 넘길 가능성이 크다
48) C파, D파는 WXY, WXYXZ가 되는 경향이 있다. Y, Z라는 건 즉, 삼수안에 삼수가 존재할 수 있다.
49) (롱 기준) 삼수가 상방으로 쏴서 5파를 만들면, 가장 긴 파동이 되는 경우가 많고, 이후 빠르게 하락할 수 있다.
50) 삼각수렴의 각 파동은 이전 파동의 618~786 관계를 가진다.
52) 복합조정 WXY(=더블쓰리)에서 5-3-5 는 한번만 나오며, 삼수는 Y에서만 나온다
53) 복합조정 WXYXZ(=트리플쓰리)에서 5-3-5 는 W/Y/Z중 한번만 나오며, 삼수는 Z파에만 나온다
54) 복합조정은 각 파동을 0.786~1.382 수준으로 되돌리며, 이전 추세 방향에 반하는 매우 완만한 채널을 형성
55) 1파가 짧다 → 3파가 확장 → 5파가 짧다
56) 1파가 확장 → 3, 5파는 확장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불가능한 건 아니다.
57) 1파, 3파 확장 X → 5파 확장될 가능성이 "높다"
58) 큰 B가 작은 B보다 90%이상 기간과 크기가 더 크다
59) 리딩다이아고날보다는 플랫(3-3-5)나 지그재그(5-3-5)가 자주 나오므로, ABC를 우선순위로 본다
패턴
1) 삼수 : 강한 지지/저항(볼륨 터짐 + 해당 위치에서 강반등)지점을 같이 보고 삼각수렴 터지는 방향 미리 예측
2) 삼각수렴은 그림이 깔끔하게 그려지지 않는 경우가 더 많다.
고점만 낮아지고 저점만 높아지고 볼륨만 줄면 다 삼각수렴이다.
3) 휩쏘 조심
-. 추세선 하단에서 롱 역지 터졌다고 바로 스위칭하는 것은 위험
-. 추세 상방으로 터져도 빠른시간안에 오버슈팅하고 바로 제자리 찾아온다
-. 15분봉을 봐야 1분봉, 5분봉보다 신뢰도가 높다. 거래량이 터지지 않으면 휩쏘다
4) E파는 절단날 수 있다.
5) 비트코인은 웻지가 꽤 많이 나온다
6) 폴링웻지, 라이징웻지 패턴은 다이버전스 완성과 함께 컨펌이 된다
7) 반등은 대게 0.5~0.618구간까지 가능하다
8) 헤숄 : 볼륨도 헤숄이어야 컨펌
9) 회귀선법 : 1차 상승 시작점 찍고 → 조정의 고점 저점 사이를 이음 → 2차 상승 어디서 끝날 지 예측 가능
RSI(보조지표)
1) 1시간 봉 다이버전스 → 최소 매물대까지 빠진다
15분 봉 다이버전스 → 전고지점 까지는 간다
5분봉 다이버전스는 단타용으로만 봐야 한다.
일봉 다이버전스는 큰 추세변화가 있을 것을 암시한다
2) 다이버전스를 깨고 올라가면 큰 슈팅이 나오므로 칼같이 손절쳐야 한다
3) 고점이 낮아졌는데 RSI고점은 올라가도 하락 다이버전스다(=히든 하락다이버전스)
4) 원 다이버전스에 반 털거나 들어가고, 투 다이버전스에 나머지 반 털거나 들어간다(전략 중 하나)
5) 리딩다이아고날인지 확신하기 전에 RSI를 같이 봐야 한다.
예를 들어 히든하락다이버전스 떴는데, 리딩다이아고날 추세선 그려놓고 무조건 닿기만을 바라면 안된다.
6) RSI 추세도 하방 다이버전스 ABCDE 가능하다. E찍고 반대로 튀어오른다.
7) 더블 다이버전스(고점은 3번 오르는데 RSI 고점 3번 내려옴)는 추세전환될 확률이 더 크다.
스토캐스틱(보조지표)
1) %K, %Drk 80이상이면 과매수/20이하면 과매도 (RSI와 비슷)
→ 80이상/20이하라고 당장 포지션 잡지 말고, 50까지 교차없이 가는지도 파악
2) 과매수/과매도 구간에서 기울기가 완만해지면 추세전환
3) %K, %D 교차 시 추세 전환
→ 꽈배기처럼 꼬이면 기존 추세 강화
4) %K가 %D 교차를 안하고 지지/저항 받으면 추세유지
5) 다이버전스가 있다 (RSI와 비슷)
거래량
1) 크게 터지면 추세변환 될 "수도" 있다. 반대로 가격변화가 커도 터지지 않으면 추세 유지
2) 3파 거래량이 가장 큰 경우가 많다. 5파 거래량 > 3파인 경우, 5파 확장 가능성 있음
3) 휩쏘는 거래량이 안터지므로, 거래량을 참고하여 휩쏘여부를 구분한다
4) 거래량이 터졌는데 전고 못뚫으면 하락 여지가 있다.
5) 어디까지 떨어질지/오를지를 볼 때, 근처 매물대를 확인한다
6) 상승 → 하락 신호 : 거래량이 죽음 -> 차트 검증 필요
하락 → 상승 신호 : 거래량이 터짐 -> 차트 검증 필요
피보나치
1) .618 / 0.5 / 0.382를 체크한다
2) 요샌 피보나치 익스텐션 0.786도 꽤 나오는 것 같다
추세
1) 트렌드라인을 그리고 반등 예측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2) 채널 상단 돌파 + 거래량 터질 때 롱 진입
3) 채널 상단 찍고 눌림이 적음 → 채널 하단 찍은 뒤 급상승 예상 -> 차트 검증 필요
매물대
1) 매물대가 쌓인 곳에서만 거래해라. 최소 1번은 지지받는다
2) 매물대 구간 돌파하면 추세가 크게 터질 수 있다.
3) 전저점에 미리 선을 긋고 1시간봉 이상에서 반등 예측한다
4) 매물대 지지/저항 맞고 추세전환을 노려 롱/숏 갈텐데,
차트를 계속 쳐다보고 임펄스 나오면 쭉 들고 있고, ABC나오면 숏/롱 스위치한다
캔들
1) 도지 + 다음 봉이 장악형(캔들 너비가 이전캔들 너비를 전부 뒤덮음) + 거래량 터짐 = 추세전환 컨펌
(모닝도지스타/이브닝도지스타)
2) 긴 꼬리 : 추세전환 암시
3) 행잉맨 : 음봉+긴 아랫꼬리 = 상승/하락 상관없이 추세전환
4) 슈팅스타 : 음봉+긴 윗꼬리 = 상승 중 거래량 터지면서 발생되면 하락전환
하락 중 유성형 나왔다고 해서 상승전환되지는 않음 -> 차트 검증 필요
5) 적삼병/흑삼병 : 몸통으로만 상승or하락 3연속 → 해당방향으로의 추세 지속
4번째 봉이 3번의 상승or하락분을 다 잡아먹어도 추세는 이어진다
6) 블록형 : 적삼병같은데 살이 짧고 꼬리가 발생 → 추세 약화 신호
7) 장대양봉/장대음봉 : 너무 당연하게도 해당 방향으로 추세가 터짐을 의미
진입조건
1) RSI 상다를 5분봉으로 컨펌하고, 지정가 하지 말고 시장가로 긁어야 한다
익절조건
1) (롱 기준)웻지로 보이면 상단에 반익한다. 상단을 뚫으면 큰 상승이 있다.
2) 진입 후 ABC 완성+매물대 끝지점에서 절반 익절
작전주
1) 매집봉이란 양봉에 볼륨 실리는 것이다. 그리고 음봉에 볼륨 별로 없이 쭉 빠진다.
즉, 하락하는데 거래량이 늘면 작전이 아니다
2) 폭등했지만 박스권 유지하면서, 거래량 줄어든다 → 매수하자
3) 이평 정배열(모여있음) → 20일 깨면 60일로 가고, 60일 깨면 120일로 간다. 이평선 골드크로스도 확인해야 한다.
이평 역배열(모여있음) → 하락장. 이평선 데드크로스도 확인해야 한다.
4) 부지런하게 알트차트를 돌려봐야 알트로도 먹을 수 있다.
5) 바닥 or 쌍바닥을 보여주지 않은 코인은 건들지 않는다
6) 3번 폭등하면 보통 끝난다. 미리 팔자.
7) 거래량이 터졌는데도 전고 못뚫으면 판다(상승에너지 소멸)
8) 200일 이평선의 중요성 :
이평선 상승 후 횡보 중 → 데드크로스 + 볼륨 터짐 → 하락장 (=이평선 하락 후 횡보 중 골크 + 볼륨터짐 → 상승장)
이평선 상승 중 → 데드크로스? → 아직 상승장 (=이평선 하락 중 골크 떠도 아직 하락장)
이평선 위에서 조정받았는데 이평선 안건드리고 오름 → 상승장 유지 (=이평선 아래서 반등해도 안건드리면 하락장)
이평선은 가격선을 인력처럼 끌어당기는 성질이 있다(데크 후 반등 가능, 격자 벌려 상승해도 조정받음)
9) 골크 후 이평선 지지받으면 다시 오름 (=데크 후 이평선 저항받으면 다시 떨어짐)
기타
1) 디파이, 금, 현금, 달러로 리스크 헷징
2) 에어드랍은 먹어라.
3) 달러 약세일 때 환전후 TLT(미 국채 ETF)삼 → 달러 강세면 팔아서 값이 싸진 주식을 삼
'Futures > 이론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매지식 - 기본 : 230103 (0) | 2023.01.04 |
---|---|
매매신조 : 230103 (0) | 2023.01.04 |
비트코인 선물 - 경험 (1) | 2021.12.18 |
코인정보 (0) | 2021.12.18 |
주가차트 기본 (0) | 2021.12.18 |